반응형
난임 시술비 지원 자격을 몰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자격, 신청 혜택, 절차까지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.
1.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자격 총정리
✅ 지원 자격 요건
- 부부 중 한 명 이상이 대한민국 국적
- 법적 혼인 또는 1년 이상 사실혼 관계 유지
- 정부지정 의료기관에서 난임 진단서 발급
- 건강보험 가입자, 소득 기준 폐지
- 시술 가능 횟수 이내에 있어야 함
✅ 지원 횟수 기준
- 체외수정(신선배아): 최대 9회
- 체외수정(동결배아): 최대 7회
- 인공수정: 최대 5회
2. 난임부부 시술비 혜택 정리
💰 시술비 지원 금액
구분 | 1회 지원금 (최대) | 지원 횟수 |
---|---|---|
체외수정 (신선배아) | 110만 원 | 9회 |
체외수정 (동결배아) | 50만 원 | 7회 |
인공수정 | 30만 원 | 5회 |
- 비급여 약제비 및 착상보조제 일부 지원
- 시술 중단 시 최대 90% 추가 지원
3. 난임부부 시술비 신청방법 2025년 기준
📌 온라인 신청
- 정부24 접속 → 맘편한임신 → ‘난임부부 시술비 신청’ 선택
- 여성 본인 로그인, 배우자 동의
- 통지서 출력 후 병원 제출
📌 방문 신청
- 여성 주소지 보건소 방문
- 사실혼 첫 신청은 반드시 방문
4. 신청에 필요한 준비서류
📝 기본 서류
- 난임진단서
- 건강보험 관련 서류
- 등본 및 가족관계증명서
- 신분증
📂 상황별 추가서류
- 사실혼: 동의서, 보증인 자료 등
- 외국인 배우자: 외국인등록증 등
- 약제비 청구: 시술확인서, 처방전, 영수증 등
5. 신청 후 절차 및 유의사항
- 신청 → 보건소 승인 → 통지서 발급
- 병원에 통지서 제출 후 시술
- 약제비 청구는 1개월 이내 가능
⚠️ 유의사항
- 통지서 없이 시술 시 지원 불가
- 지원 횟수 초과 시 이월 불가
- 서류 조작 시 환수 및 처벌 가능
반응형
댓글